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호사 공부13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 시낙텐 검사(RAST 검사,rapid ACTH stimulation test)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검사인 시낙텐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내분비내과 병동이나 외래에서 많이 시행하는 검사인데, 저는 응급실 근무하면서 내분비내과 환자들이 시낙텐 검사를 위해서 응급실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어요. 오늘은 검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더 나아가 호르몬 작용 기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부신 부신은 kidney 위에 위치한 adrenal gland로 피질과 속질로 구분됩니다. 부신 피질에서는 코티솔, 안드로겐, 알도스테론이 분비되고, 부진 속질은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합니다. 부신 피질 호르몬 작용 기전 뇌의 시상하부(Hypothalamus)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CRH)를 분비해서 뇌하수체의 전엽을 자극합니다. 자극.. 2023. 9. 13.
신규간호사를 위한 감염관리 종류 오늘은 신규간호사 선생님들을 위한 감염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원에서는 여러가지 감염병이 존재하고, 코로나를 겪으면서 감염 관리가 더욱 중요하고 철저하게 이뤄져야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오늘은 감염관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표준주의를 비롯하여 전파경로별 주의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감염관리를 공부하실 때는 각 전파경로별 주의가 어떤 질병이 있는지, 어떤 보호장구를 착용해야하는 지에 대해서 숙지해두셔야 합니다. 표준주의 (standard precautions)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격리지침은 모든 대상자에게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는 표준 주의와 감염의 전파방법에 따라 적용하는 전파경로별 주의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합니다. 표준주.. 2023. 2. 26.
신규간호사를 위한 활력징후 - 혈압 오늘은 활력징후 2편으로 V/S 중 혈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활력징후 1편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02.14 - [간호사 공부] - 신규간호사를 위한 활력징후(체온,맥박,호흡) 신규간호사를 위한 활력징후(체온,맥박,호흡) 활력징후란 무엇인가 활력징후는 vital sign이라고하며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하고 신체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이용됩니 yudi1blog.com 혈압을 이해하기 위해 약간의 이론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임상에서 적응 가능 한 혈압의 측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혈압 (Blood Pressure, BP) 혈압은 심장에서 압력에 의해 방출된 혈액이 동맥벽에 작용하는 힘을 의.. 2023. 2. 22.
신규간호사를 위한 활력징후(체온,맥박,호흡) 활력징후란 무엇인가 활력징후는 vital sign이라고하며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하고 신체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이용됩니다. 임상에서는 흔히 '바이탈'이라고 부르며, V/S 이렇게 표기합니다. 오늘은 기본 중에 기본인 활력징후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신규간호사가 되면 가장 기본적으로 많이 하게되는 업무가 바이탈 측정인데요. 측정하는 방법과 정상범위,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아야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해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장 기본적으로 익혀야 하는 업무입니다. 활력징후 정상범위 체온(ºC) 맥박(회/분) 호흡(회/분) 혈압(mmHg) 신생아 35.5-37.5 70-190 35-40 영아 37.4-37.6.. 2023. 2. 14.
간호사를 위한 혈액검사 - 종양표지자 안녕하세요 유디입니다 ! 오늘은 혈액검사 중 암표지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암이 의심될 때 조기에 암을 발견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암세포가 증식하면서 만들어내는 물질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암을 조기 발견하고,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적검사에도 이용됩니다. 그러나, 암을 확진하기 위한 검사는 아니며 검사 하나만으로 양성과 악성을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암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와 병행하여 고려되어야 합니다.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 암종배아항원 참고치 0-5.0 ng/ml 임상적 의의 배아조직에서 나타나는 단백으로 주로 소화기관계 암에서 검출된다. 대장암에서 임상병기, 예후와 연관성이 좋다고 알려진 암표지자이다. 대장직장암, 유방암, 비세포성폐암.. 2023. 2. 9.
신규간호사를 위한 면역혈청검사 정리 이번 진단혈액검사 정리는 면역혈청검사 편입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보통 수술이나 입원을 하는 경우에 필수적으로 면역검사를 시행합니다. 그만큼 흔한 검사입니다. 여러 가지 면역혈청검사가 있는데 각 의미를 알아두면 환자가 이상반응이 나왔을 때, 어떤 질환일지 의심해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혈액검사 공부 시 반드시 알고 가셨으면 합니다. 항원과 항체란 무엇인가 ? 항원 : Antigen, Ag라고하며 면역반응을 발생하게 하는 단백질이다. 인체 내 병원균이나 바이러스 등 항체 : Antibody, Ab라고 하며 면역체계가 감염을 인지하고 방지하기 위해 생성해 내는 물질이다. 항체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균이나 이물질의 항원에 반응하여 면역을 형성한다. 즉,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 침입하여 생성한 단백질을.. 2023. 2. 7.
반응형